空間
[UIUX 분석] OTT 서비스 플랫폼 - wavve(웨이브) 본문
첫번째 레퍼런스 UIUX 분석 시작!
국내 OTT 서비스 플랫폼 wavve(웨이브)
웨이브는 2019년 SK텔레콤의 '옥수수'와 지상파 3사의 '푹'이 합쳐져 탄생했다.
Wavve는 방송 3사의 콘텐츠를 기반으로 국내 최고의 OTT 플랫폼으로 도약했다.
chapter.1
사용자 분석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특수가 끝나며 OTT 시장의 전체적인 성장률이 저하되었지만 국내 OTT 업계에 지각변동이 일었다.
작년 1위 웨이브는 이용자 수 401만명 그치며 3위로 내려갔고, 2·3위에 있던 티빙과 쿠팡플레이가 한 계단씩 순위를 올렸다.
특히 티빙은 KT 시즌을 품으며 '토종 1위 OTT' 입지를 굳히는 모양새다.
나는 OTT플랫폼 4개(넷플릭스,Tving,쿠팡플레이,웨이브)를 구독하고 있는데 현재 가장 많이 이용하는 건 웨이브다.
넷플릭스는 사실 오리지널 컨텐츠 대박작이 터지지 않는 이상은 "뭐볼까~~" 하고 고민하다 이탈하고
티빙도 웨이브랑 넷플릭스 구독하고 있는 이상... 사실상 볼게 많지 않아 국내 예능/다큐가 가득한 웨이브로 돌아오는 것 같다.
(할인 프로모션도 좋아서 아주 싸게 보고있다)
OTT를 구독하는 사용자들은 이와같이 더이상 콘텐츠가 볼게 없어서 라고 느끼게 되면 해지를 하게되는데,
사실 플랫폼 자체에 엄청난 양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컨텐츠에 대한 노출이 부족해 일어나는 결과가 아닐까 예상해본다.
특히 이번에 그룹프로젝트로 조사하게된 넷플릭스의 경우 맞춤컨텐츠를 제공하지만 신뢰도가 떨어지고 자체적으로 서치해서 보려고해도
쉽지 않았다.
하지만 웨이브의 경우는 약간은 달랐는데 그 이유는 아래 화면 구성 분석에서 설명하려고 한다.
chapter.2
화면 구성 분석
1. 내취향 확인해보기
사실 메인먼저 적으려고 했는데 이부분이 웨이브에서 가장 재밌다고 생각하는 요소여서 먼저 설명하고 싶었다.
웨이브는 넷플릭스처럼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지는 않지만 내가 어떤 취향을 가지고 컨텐츠를 이용하는지를 보여주며 앞으로 어떤 컨텐츠를 주로 이용할지 재미 요소를 더해 시용하고 싶게끔 만들어 주고있다.
나 같은 경우는 주말 몰아보기형으로 3개월간 총 12시간을 이용했다고한다 ㅋㅋㅋ 은근히 둘러보는 재미가 있다.
(해당메뉴는 마이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밀리의 서재에도 비슷한 메뉴가 있는데 아래와 같이 통계가 보여 괜히 다독하고싶게 만든다😂
예로 들은 내 통계는 처참하지만... 이처럼 꼭 거창한 맞춤제공 기능이 아니더라도 약간의 재미요소를 더하면 사용자는 컨텐츠를 더 활발히 사용하게 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2. 홈
이제 홈으로 돌아가서 이야기 해보자.
존 야블론스키의 UX/UI의 10가지 심리학 법칙 중 제이콥의 법칙이 떠오른다.
"유저는 익숙한 방식을 편하게 생각한다"
국내 OTT 서비스 app의 홈을 보면 비슷비슷 하다는게 느껴지는데,
로고, 아이콘, 등등 유사한 부분이 많아 어느 쪽을 사용하든 불편함이 덜한것 같다.
지금보니 티빙과 쿠팡은 비슷한점이 더 많아보인다. (아이콘이 너무 똑같네?)
웨이브는 하단 버튼 영역에 카테고리 메뉴를 두고있는데 실제로 사용해보면 한손으로 컨텐츠 서치하기에 굉장히 편리하다.
넷플릭스를 분석하며 카테고리, 검색으로 컨텐츠를 찾는게 굉장히 불편하다는걸 느꼈는데
웨이브는 멘트도 국내 사용자를 배려한게 느껴진달까 전체적인 텍스트들도 부드럽고 훨씬 찾아보기에는 편리하다.
특이한 점은 티빙과 쿠팡플레이의 경우 썸네일 하단에 제목이 노출되는데
웨이브의 경우에는 넷플릿스와 동일하게 제목을 제거하고 썸네일에 이미지와 함께 보여지게 되어있다.
넷플릭스는 영화를 주력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영화포스터 느낌으로 디자인 되었다고 알고있는데
웨이브는 주력 컨텐츠가 영화가 아닌데 어째서? 물론 제목이 보여지지 않는게 훨씬 깔끔하고 예쁘다. 사실 사용하는데도 문제 없고😏
3. 카테고리
카테고리를 들어가보면 이렇게 세분화된 메뉴들을 볼 수 있는데 클릭해보면 해당 메뉴 안에서 또 장르별로 구분이 되어진다.
컨테츠만 쭈루룩 설명 없이 있는 것 보다는 훨씬 친절하다고 느꼈다.
그리고 여기서 또 존 야블론스키의 UX/UI의 10가지 심리학 법칙을 소환해야겠다.
이번엔 '밀러의 법칙'이다.
웨이브는 어느 카테고리를 가던 한 화면에 최대 9개까지의 썸네일만을 보여주고있고 카테고리별 청킹도 적절하게 되어있다.
알고보니 재밌네🧐
4. 검색
검색화면은 단순한듯 복잡하다.
태그들이 주루룩 나열되어있고 다중선택이 가능해 내가 원하는 태그들은 클릭해서 서치하면 된다.
하지만 태그들의 양이 많아 찾아서 선택하는데 시간이 꽤 소요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5. 재생화면
재생화면은 굉장히 깔끔하게 느껴졌는데 에피소드와 설정이 오른쪽에서 나타나 스크롤해서 보기도 편하고
좌우로 롤링하는것 보다 훨씬 편하게 느껴졌다.
티빙의 경우에는 회차를 클릭하면 가로형에서 전체 스크롤이생겨 어색함을 느꼈는데
웨이브에 경우에는 손의 위치 손가락의 위치를 잘 고려해서 제작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chapter.3
개선점 찾기
마지막으로 개선했으면 하는 점을 이야기 해보려 한다.
첫째로 웨이브의 메인을 보다보니 의문이 드는 부분이 있었다.
W only, original의 차이와 썸네일 오른쪽 상단에 웨이브 로고 라벨. 각각 어떤 의미일까? 사용자가 쉽게 할수 있으려면 설명이 조금은 있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했다.
둘째, 홈 영역을 스크롤 했을때 상단 로고와 썸네일들이 겹쳐져 보여 로고영역을 구분해서 두는게 보기에 좋지 않았을까 생각이 들었다.
셋째, 이용권 구입페이지에서 굉장히 당황했다 가격표를 누르자마자 승인이 되었다는 메시지가 나왔기 때문이다. 물론 나는 이미 구독중이여서 문제가 없었지만 승인되기 전에 안내 메시지 하나 정도는 띄워줘야하지 않았을까 싶었다.
넷째, 마이페이지의 '관심 에디터 pick'항목은 설명이 부족해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 수 없었다. 에디터가 누구인지... 누가 픽한걸 봐야하는건지... 안내가 필요할 듯 하다.
관심 에디터가 있다면 해당 메뉴로 이동하는 버튼을 두면 좋을 것 같다.
다섯째, 웨이브는 국내 드라마/예능/다큐 이런 컨텐츠 주력인데 상세 페이지의 에피소드 설명글들이 영화 썸네일 기준으로 맞춰져있어 정렬이 틀어져보이고 굉장히 복잡해보인다. 이부분은 줄거리를 말줄임 사용해서 줄이고 더보기를 두는게 좋지 않았을까 생각했다.
이렇게 웨이브를 뜯어보았는데 UIUX강의 듣기 전에는 생각도 못한것들이 보여서 재미있었다.
매주 이렇게 뜯어볼생각하니 아주 신난다 하하🤣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스쿨] 14기 :: 3주차_02.그리스시스템 (0) | 2023.05.21 |
---|---|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스쿨] 14기 :: 3주차_01.디자인 환경 (0) | 2023.05.21 |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스쿨] 14기 :: 2주차_04. 그룹프로젝트 (0) | 2023.05.14 |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스쿨] 14기 :: 2주차_03. 퍼소나 알아보기 (0) | 2023.05.14 |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스쿨] 14기 :: 2주차_02. 사용자 이해하기 (1) | 2023.05.14 |